철학 공부 테크트리 추천(41)
금연상담전화 2018-06-24
내가 걍 다 쓸까 하다가 생각해보니까 강연이지 추천은 아니더라고.
그래서 추천으로 쓴다.
테크트리 따라가면 철학에 대해서 어느 정도 알게 되고
너도 너 나름대로 철학을 가지게 될 것이다.
철학이 뭐냐고? 글쎄. 아무리 듣고 보고 읽어도 잘 모르겠더라.
그냥 세상을 읽는 자기만의 눈이라거나 세상을 읽어낸 자취라고 해야할까.
아무튼 철학 관심 있는데 그동안 시간이 없느니 너무 어렵다느니 이유만 자꾸 늘어났다면
바로 아래 링크를 보고, 책을 한 권 사봐.
(서양철학임)

1. 네이버 열린 연단
네이버에서 진짜 기가 막힌 서비스를 하나 한다. 열린연단.
이거 진짜 좋은데 잘들 모르더라고.

https://m.openlectures.naver.com
모바일 사이트고
pc로는 네이버에 열린연단 검색하면 바로 뜬다.
난 2015년부터 봤다.
보면 알겠지만 강연이 엄~청나게 많다.
ted의 짧은 강연이나 유튜브/기타 사이트의 자기계발 강연 같은 거랑은 좀 많이 다른
진짜 강연 같은 느낌이다.
비슷한 류로 k-mooc도 있기는 한데 이건 너무 촌티나고 별로임. 아무튼 별로임. 하기 싫게 돼있음.

교수들이나 높으신 연구자 분들이 오셔서 하는 건데
퀄리티가 진짜 괜찮음.
근데 간혹 존나 지루한 할아부지 훈장님 스타일 있는데
그것만 거르면 됨.
주제별로 정리 잘 돼있고 각자 자기 연구 분야에 애정을 가진 분들이 강연자로 나오는 거라
굉장히 흥미진진하고 좋다.
언제 어디서든 볼 수 있으니 그냥 시간 남을 때나 이동 중에 보는 것 핵추천.
진짜 이 열린 연단 사이트만 해도 추천글 하나 쓸뻔.
강연 추천 목록 같은 거 정리해서.

+ 이외에 강연 사이트로는 아트앤스터디가 있다.
근데 여긴 좀 비싸고 재미 없어 ㅋ 쭝궈이랑 강신주가 맹활약 했던 곳인데 다른 사람들 강의가 넘 노잼.
나중에 시간 나면 유튜브에 있는 쭝궈 잘한 강연도 링크 추천 하겠삼.


2. 책
철학은 존나 책으로 된 학문이지. 그래서 열린연단 같은거 듣는 것도 좋고 강연 듣는 것도 좋지만
기본적으로 책을 읽지 않으면 철학 공부가 어렵다.
글을 읽어야 한다는 소리.
우리나라에서 인터넷으로 접할 수 있는 철학 글들은 죄다 사이비 짬뽕에 제대로된 말들이 아니라서 누가봐도 허점이 있거나 누가 봐도 별거아닌 소리들이 많은데
사실은 철학책들은 생각보다 존나 탄탄하고 빈틈없는 논리로 구성되어있다.

쉽고 받아들이기 수월한 책부터 어려운책 순으로 추천 들어간다.

난이도 하
1 플라톤; 대화
2 니체; 선악의 저편 / 도덕의 계보
3 미셸 푸코; 감시와 처벌 / 성의 역사
4 쇼펜하우어;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6 존 스튜어트 밀; 자유론

난이도 중
1 플라톤; 국가론
2 비트겐슈타인; 논리철학논고 (이거 되게 재밌음)
3 니체;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4 아도르노; 부정변증법
5 하버마스; 의사소통행위이론
6 자끄 라깡; 욕망 이론
7 헤겔; 법철학
8 마르크스; 헤겔 법철학 비판
9 들뢰즈; 천 개의 고원
10 존 롤스; 정의론

난이도 상
1 니체;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2 마르크스; 자본론 (상이지만 이해는 쉬우면서 어려움)
3 데리다; 환대에 대하여 / 그리마톨로지
4 레비나스; 시간과 타자
5 칸트; 순수이성비판 (장식용)
6 하이데거; 존재와 시간
7 사르트르; 존재와 무


난이도 하는 읽고 가장 와닿고 생각이 바뀌는 분류
난이도 중은 읽고 생각이 확장되는 분류
난이도 상은 책장에 꽂아놓으면 간지남 ㅋ

난이도 하는 쭉 읽어간다 생각하고 읽어도 무방한데
난이도 중은 일단 다 읽고 나면 어렴풋이 남는다. 그러면 또 읽으면 이해가 조금 될 것.
난이도 상은 이해 되면 좋고 안 되면 말고.

추천서에는 근대 이전은 없다. 중세건 그리스건 존나 노잼.
플라톤만 알고 근현대로 조지는 것이다.
기본적으로 근현대는 마르크스/니체/프로이트로 시작한다고 보면 됨.


3. 전체 맥락 서적
소크라테스에서 포스트모더니즘까지
이 책이 좋다.


4. 간략 설명
큰 이분법으로 생각하고 접근하면 쉽다.
자연, 언어, 구조, 질서, 법, 이성,
vs
인간, 실존, 실재, 자기, 비이성, 해체,
등등등
자연은 푸르른 나무 이런게 아니라 자연임.
더 쓸까 하다가 만다. 추천 글이니깐.


5. 잡소리 겸 예상 질의응답
-해설서를 읽는게 낫지 않냐.
난 해설서 안 읽는다. 무조건 원전을 읽자는 주의.
해설서가 도움이 될 수도 있다. 하지만 해설하는 사람이 한정 짓거나 부분만 골라오거나 자기 철학을 집어넣거나 어줍잖은 이해도로 덤빈 것들을 너무 많이 봤다.
유튜브에 영화 올리는 채널들이 10분요약으로 올리는 느낌.
시험 보려고 철학 공부 하는 것도 아니고 길고 어려우면 그 나름대로 즐기는 거지.

-번역가는 왜 안 넣냐. 출판사는 어쩌라고.
사실 내가 그런거 잘 신경을 안 쓴다.
번역 좆같으면 안 읽고 말지. 그냥 취미로 공부하자는 건데.
근데 운이 좋았는지 내가 산 책들은 대체로 괜찮더라고.

-말이 너무 어렵지 않을까.
그거 두려워하지 마라. 막상 원전의 글을 읽으면 오히려 어려운 말이 잘 없는 경우가 많다. 다만 쉬운 말이라도 개념이 복잡해서 그 글이나 생각의 구조 파악이 어려울 수는 있다.
오히려 해설서들이 잘난척 하느라고 복잡하고 좆같은 전문용어를 넣는 경우가 많다.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지 않나.
오래 걸린다. 한 번도 생각해보지 않은 사고방식이 있을 거다.
그런데 그걸 그 사람들은 일평생 다듬어온 것이다.
그걸 한순간에 받아들이기는 어렵다.
그때는 네이버 열린연단을 보자.

사고방식이 확장되는 느낌은 쉽게 오지 않는다.
어느 순간 진짜 짜릿하게 아!이런 사고방식이!하고 넓어지는 경험을 하게 된다.

-꼭 책이냐.
아니. 근데 난 책을 추천할래.

-데코용으로 괜찮냐.
응. 순수이성비판 같이 안 읽고 박아둔 책도 좀 있는데 꽤 간지난다 ㅋ

-옛날 철학을 몰라도 돼?
ㅇㅇ 몰라도 된다. 그냥 일단 읽어봐.

언니 졸라 고마워!
cg**** 2018-06-24 답글쓴이 돈주기   
더 필로소피 북은 어때? 철학 연대기랑 간단한 철학자 소개 정리 잘 되어 있어서 개론으로 가볍게 읽고 넘어가도 좋을거 같은데 이거 도움 될려나?
난이도별로 정리된거 넘 좋다 옛다.
as*** 2018-06-24 답글쓴이 돈주기   
인식론 제일 쉬우니 황설중교수 인식론 읽어보ㅓ라
se**** 2018-06-24 답글쓴이 돈주기   
열린연단 좋지
citaroo 2018-06-24 답글쓴이 돈주기   
플라톤 책 추려서 추천해줄 수 있어?
대화라는게 향연 소크라테스의 변명 에우튀프론 이런 거 다 포함해서 말하는 거지?
대화편 중에서도 특히 추천해주고픈 것들 몇권만 추천해주랑
기회되면 동양철학 글도 하나 파줭
me******* 2018-06-24 답글쓴이 돈주기   
감사합미다

언니 근데 철학공부함으로써 얻게 된 것들도 더 알려주면 안돼? 철학공부한 동기라던지 헿
ju**** 2018-06-24 답글쓴이 돈주기   
묘하게 데카르트는 딱 패스했네. 데카르트 없으면 연결이 잘 안되는데.
bs**** 2018-06-24 답글쓴이 돈주기   
오언니진짜 고마워!!!!!!!
00** 2018-06-24 답글쓴이 돈주기   
와 언니 진짜 고마워!!!
ru******* 2018-06-24 답글쓴이 돈주기   
탱큐
ka****** 2018-06-24 답글쓴이 돈주기   
이 언니 전공과 직업이 궁금타
79** 2018-06-30 답글쓴이 돈주기   
데카르트랑 스피노잔 없어?
철학 좆도 모르는 공돌인데 순서가 데카르트. 스피노자. 헤겔. (쇼펜하우어). 칸트. 니체 순으로 배워서 궁금해.
zi***** 2018-06-30 답글쓴이 돈주기   
좋은정보 고마워!열린연단 들으러 가봐야지
np*** 2018-07-09 답글쓴이 돈주기   
현대 철학서도 추천해죠!!!!!
es******** 2018-07-09 답글쓴이 돈주기   
고마워 복 많이 받아♥
da****** 2018-07-09 답글쓴이 돈주기   
내용 좋다 고마워 다시 다 읽어보고 싶어진다.

zi 언니 스피노자랑 데카르트는 들뢰즈 읽다보면 다시 등장함. 그렇게 보는게 훨 잼있음. 들뢰즈 박사논문이 스피노자에 대한 거였음.
Darian 2018-07-30 답글쓴이 돈주기   
네이버열린연단 내가 개이버를 싫어할수없는 이유. 쓰니 완전 나랑 코드가 비슷하네!!♥♥
ki***** 2019-02-06 답글쓴이 돈주기   
해당 전공 석사 이상 전공자로서 마구잡이로 원전부터 혼자 읽는 거 추천하지 않는다. 원전을 그냥 박치기하면 자기 맘대로 오해하고 이상하게 이해할 가능성이 크다. 특히 저거 읽고 내가 무슨 깨달음을 얻었다고 어디 가서 씨부릴 거라면 더더욱 비추다. 그럼 사기꾼이 되는 거다. 모든 원전은 그것이 쓰인 맥락을 갖고 있고 그걸 고려해서 전문가가 쓰는 게 2차서적(해설서)이다. 여기서 전문가는 박사학위 이상 받은 사람을 말하는 것이지 인문학 책 존나 읽었다 나는 인생을 너희와 다르게 보지! 라고 깨달음 팔이 하는 사람이 아님.
B사감과청첩장 2019-02-07 답글쓴이 돈주기   
라깡 읽어봐야지
ey********** 2020-06-11 답글쓴이 돈주기   
라깡 너무 어려워 아직도 무슨말잉지 잘모르겠어 진짜 어렴풋하게는 알겠는데 개념적으로 명료하게 잡히지 않음 하 천재들이여 진짜 철학자들은 무슨 생각을 그렇게 많이해서 이런책들을 쓴고냐
mi***** 2020-06-12 답글쓴이 돈주기   
스크랩!
할리퀸 2020-06-12 답글쓴이 돈주기   
글의 의도는 공감하지만
난이도 상중하의 기준을 모르겠어
예를 들어 칸트가 니체보다는 읽기 쉽다고 생각함
칸트는 논리적으로 잘 정돈된 텍스트고 니체는 아무래도 비유 은유적인 텍스트니까

플라톤만 알고 근현대로 가는 것도 위험함
전통철학 공부 제대로 안하면 현대철학 공부 못하니께

그리고 나도 위에 석사이상전공했다는 이드 말처럼 원전 박치기 비추. 자기 맘대로 해석하다가 개똥철학할 확률 높음
(참고로 나는 학사전공 찌끄래기임)

정말 초심자면 간단한 철학 입문서가 제일 적절하다고 생각해(이 모든것의 철학적 의미는?, 토마스 네이글 저, 이 책 추천)
ep**** 2020-11-09 답글쓴이 돈주기   
고마워
yada 2020-11-09 답글쓴이 돈주기   
철학을 공부하면 머가 좋아?
스피노자 철학 궁금해
철학을 공부하면 내면이 단단해져??
ci****** 2020-11-11 답글쓴이 돈주기   
에크리 진짜 읽기 어렵누
sw********** 2020-11-11 답글쓴이 돈주기   
와우 욀케 똑똑한 언니들 많냐 고마워ㅠ
ab****** 2021-11-15 답글쓴이 돈주기   
와 이거 좋다 열린연단
cy*** 2021-11-15 답글쓴이 돈주기   
진짜 고마워
am**** 2021-11-16 답글쓴이 돈주기   
99 2021-11-16 답글쓴이 돈주기   
바로 소크라테스 대화 랑 쇼펜하우어 책샀다
bb******** 2022-08-19 답글쓴이 돈주기   
역사는 노잼인데 철학은 왜 이렇게 끌리지..?
전공 할 것도 아니고 이럴때 아니지만 ㅜ 논리철학논고
재밌어 보인다.
Co****** 2022-08-19 답글쓴이 돈주기   
칸트 순수이성비판 장식용ㅋㅋㅋㅋ 고마워!!! 공부해야하는데 까마득했어..
d** 2022-08-19 답글쓴이 돈주기   
고마워
ta***** 2022-08-19 답글쓴이 돈주기   
철학책 읽을때 그냥 읽는걸로 끝내지말고 한줄이라도 질문을 던져보는 것 추천
개소리 잡소리라도 상관없음
철학자의 사유와 내 사유를 섞어보는 습관 들이면 철학이 위안이 된다
wj********* 2022-08-19 답글쓴이 돈주기   
하이데거 이해하려다가 머리 깨질 것 같아서 이드에 혹시하고 검색했는데 이런 글이 있어서 행복하다 너무 고마워
마요네즈 2023-12-01 답글쓴이 돈주기   
클릭 최소 N
ly*** 2023-12-01 답글쓴이 돈주기   
떙-큐
hy**** 2023-12-01 답글쓴이 돈주기   
사랑해요
라떼 2023-12-01 답글쓴이 돈주기   
멋지다
dl** 2024-03-27 답글쓴이 돈주기   
ep 난 심지어 이 추천글에서 네이버 강연 빼면 뭔 의미가 있는지 모르겠음
nu****** 2024-03-27 답글쓴이 돈주기   
감사합니다
kn***** 2024-03-27 답글쓴이 돈주기   

사업자번호: 783-81-0003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2023-서울서초-0851

서울 서초구 청계산로 193 메트하임 512호

문의: idpaper.kr@gmail.com

도움말 페이지 | 개인정보취급방침 및 이용약관

(주) 이드페이퍼 | 대표자: 이종운 | 070-8648-14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