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요한 것부터 이야기하겠습니다.
1. 좋은 상담사를 구하지 못하면 심리 상담은 아무 효과가 없습니다.
2. 나쁜 상담사를 구할 경우 심리 상담은 역효과입니다.
3. 한국에는 나쁜 상담사+좋지 못한 상담사가 매우 많습니다.
☞ 당신이 한국에서 심리 상담을 받게 될 경우,
당신의 정신 문제는 해결되지 않을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그러므로 심리 상담도 피부 관리와 같이
1. 내 문제가 무엇이고
2. 나는 어떤 치료가 필요하며
3. 누가 그 치료를 잘 하는가
이 세 가지를 미리 알고 가야 실패가 없습니다.
우선 심리 치료의 종류에 대해 이야기하겠습니다. 심리 치료의 종류를 살펴보면 심리 치료가 무엇을 목표로 하고 있는지가 눈에 매우 선명하게 보입니다. 다양한 방법론이 하나의 목적으로 수렴되기 때문입니다.
현존하는 심리 치료 기법은 굉장히 많습니다. (좀 쓸데없이 세분화 되어 있기도 합니다.) 그러나 당신이 한국에서 만나게 될 심리 치료 기법은 4가지로 추려집니다.
1. 정신 분석 치료
2. 인지 행동 치료
3. 변증법적 행동 치료
4. 수용 전념 치료
1) 정신분석
정신분석은 그 유명한 프로이트가 만들어낸 치료 기법입니다. 정신분석 치료에서는 당신의 꿈 이야기를 많이 하게 되며, 공포증과 성적 문제에 효과를 보인다고 알려져 있으나, 사실 실질적 효과는 가장 떨어지며 시간도 무척 오래 걸리는 치료 유형입니다.
정신 분석이 열등한 치료 기법이기 때문이라서가 아니라 이 치료 기법은 말 그대로 "분석"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
변증법적 행동 치료는 "마음챙김mindfulness"이라는 개념을 가장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치료이기도 합니다. 이 치료는 극단적인 행동을 자꾸 하려고 드는 내담자에게 매우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화를 참지 못하고 집에 불을 지르거나, 직장 상사에게 주먹을 휘두르거나, 불쾌한 일이 있었다고 음주 운전을 하는 등의 행동입니다.
이것보다는 정도가 낮다고 하더라도, 뻑하면 사표를 내고 직장을 그만두거나, 인간 관계에 있어서도 싸우고 푸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 별로 크지 않은 싸움으로도 사람을 아예 "손절"해 버려서 주변에 사람이 남아나지 않는 경우 등도 변증법적 행동 치료의 효과를 볼 수 있는 대상에 속합니다.
- '심리 상담의 기법' 파트 중
우리는 지금까지 살펴본 심리 치료의 기법과 목적을 보고, 이제 나쁜 심리 상담사를 걸러낼 수 있습니다. 치료 본연의 목적에 적절하지 않은 발언을 하거나, 적절하지 못한 태도를 보이는 심리 상담사는 모두 당신의 돈, 시간, 기운을 앗아가는 상담사입니다.
정신 분석 상담사의 경우 -> 상담 외의 일상에서도 마치 정신 분석을 하는 것처럼 당신의 과거를 하나하나 돌아보고 곱씹으라고 이야기하거나, 그런 생각을 조장하는 경우
인지 행동 치료 상담사의 경우 -> ...
(...)
사실을 말하자면, 이미 문제가 심각한 내담자가 상담자를 보고 이런 기준을 하나하나 적용시키는 것은 어렵습니다.
정신 건강에 문제가 있는 내담자들은 상담자가 저 기준에 들어맞아도 인식하지 못하거나, 기준에 맞지 않아도 이런 점에 들어맞는다며 멀쩡한 상담자를 갈아치울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따라서 저 기준은 항상 "특정한 문제가 발생한 후에" 활용해야 합니다.
문제의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내가 상담을 받고 있는데, 돈 낭비만 하는 것 같다. 선생님이 내 말을 잘 안 들어 주시는 것 같다. 선생님이 너무 차가운 것 같다. 선생님이 너무 대충 하는 것 같다. 선생님이 내 편을 안 들어 준다.
-> 모두 문제 상황이 아닙니다. 위의 기준을 적용해서 상담사를 시험해 보려 하지 마십시오.
- '나쁜 상담사 거르기' 파트 중
성 소수자나 정신질환이 있는 사람, 장애인,
여기 더해 예술가, 좌파, 빈곤층 흙수저, 범죄 피해자 등 사회의 핍박과 지탄을 받는 데에 익숙한 사람들의 경우 심리 도식이 왜곡되어 있을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오해하지 말고 잠깐만 들어 주십시오, 여러분 욕하는 거 아닙니다. 니들 열등한 새끼들이라 정신도 개박살나 있을 거다 이러는 거 아닙니다.
여러분 중 많은 수가 심리 치료가 필요하고, 또 심리 치료를 받는 과정에서도 여러분의 특성을 잘 알고 여러분의 어려움에 대처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을 필요로 합니다. 여러분이 뭘 잘못해서가 아니고, 여러분이 잘못을 했든 하지 않았든 그것과 상관없이, 여러분은 세상에서 다른 사람에게 상처를 입은 경험을 많이 해 보았기 때문입니다. 고립되거나 격리되는 경험을 다른 사람보다 더 많이 겪었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
그런데 한 편으로는, 심리 상담의 효과를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사람들도 이런 계층입니다. 어떤 면에서 이것이 심리 상담사들 중 좌파가 많은 이유이기도 합니다. ...
- '심리 상담의 효과를 볼 수 있는 사람들' 파트 중
하나 정정하자면 대학원에서 석사한다고 '자동적으로' 2급 자격증 안 나옴...
따로 수련하고 시험보고 면접보고 해야지 자격증 나옵니다... 1년에 1번 있는 자격증 시험... 석박학위와 자격증은 별개임 |
||
wi****** | ||
상담쌤 골라서 상담 2회차 진행해봄. 긴가민가해. 정말 공부를 많이한 사람이라고는 느껴졌어. 그런데 내 안의 것을 완전히 해소하려면 남앞에서 울어야 승인받는 느낌이 나고 효과가 있데. 그래서 내가 다른 방법 쓰고싶다고 했는데 자기가 24-25년 상담과 교육을 하면서 느꼈는데 그 방법 밖에는 없다고 하더라고... 단호하게 고통을 고백하고 울라는 식이어서 당황스러움. 그 단단한걸 깨뜨릴려면 그거밖에 없데. 지금 별 생각 없는 것들인데 과거의 것들도 다 끄집어 내려고 하더라고
이거 맞아????.... |
||
![]() |
||
warm 언니 ) 돈벌려는 사기꾼들인거지뭐 일단 자격증 취득 위해 쏟아야하는 돈과 시간과 노력의 비용이 크기도하고.. 근본적으로는 국가자격증이 아직 부재해서 생기는 문제야. 지금처럼 학회에서 말고 미국처럼 국가에서 자격여부를 검증하고 활동하게끔 해야하는데 그런 미니멈에 대한 규제가 전혀 없으니 사기꾼들이 판치는 현장임. 애꿎은 내담자가 피해를 입었다니 너무 안타까운 마음이네요 ㅜㅜ 밑글도 참고해봐요!
http://www.mind-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356 |
||
fl********** | ||
쓰니 언니 밑 언니 답변 고마워요
사실 비공인에게 상담으로 피해 입은 상태라 이게 그리 엄중한 문제였던가 궁금했음. 그 사람이 학위가 있는 심리학자니까 공인 자격증이 있는지 없는지 따져볼 생각도 못했거든요..ㅜ 상담 퀄리티 같은건 좋았는데 그런 전문 지식과 별개로 이 사람의 소양의 문제인거죠. 소양 부족으로 무책임함을 보였고 난 큰 피해를 입어서 괴롭습니다. 정규 과정으로 내담자와의 관계 형성에 관한 수련을 받는다는게 중요해보이네요. + 2급 건너뛰고 박사후에 받으려는 이유 말고는 제대로 과정 안밟고 활동하는 이유가 뭔가요? 어디에 소속됨으로써 받는 간섭이 싫은건지 범죄자 유형인지 |
||
![]() |
||
밑댓에 대해.. 쓰니가 말한거에 덧붙여봄. 종종 석사 마치고 박사까지 바로 하는 사람들 중에 2급 취득하지 않고 바로 1급 응시하려고 수련중인 상담사도 있다. 자격증 수련 요건 관련 현실적인 문제 때문인데 아무튼. 2급도 석사 마친다고 자동으로 나오는게 아니라 자기가 알아서 시험치고 준비해야함.. 2급 딴 사람이랑 2급 없이 바로 1급 준비하는 사람들 간에 상담 실력 차이는 케바케라고 봄.
결론은? 1. 왠만하면 1급 전문가에게 받아라. 1급이 모든걸 보장해주는 건 아니지만 2급은 상담이란 일을 하기위한 거의 최저요건일뿐임. 2. 그렇다고 박사 밟고 1급 준비하는 분들이 전부 자격미달이라고 보긴 어렵고 2급자와 큰 차이가 없을 수도 있다. 그치만 굳이 수련자에게 받기보다 돈 들더라도 전문가에게 받아라. 요샌 전국민마음투자사업 신청해서 싼 가격에 받을 수도 있다. (서울시 청년이면 청년마음건강 어쩌구도 있음) -지나가던 한상심2급자 |
||
fl********** | ||
공인 자격증은 없는데 상담심리학 박사를 밟고 상담하시는 분의 자질은 어떠한가요? 공인 자격증을 강조란 글이라서 궁금합니다
굳이 모험을 하지 말라는 취지인지 아님 정말 저 조건을 충족 못하면 상담가로서 자격미달인 부분인건지 |
||
![]() |
||
정신분석에서 인지도가 꽤 있는 선생님일 경우 기대해볼 효과는 무엇인가요?? 칼 융 학회에 속해있고 꿈으로 무의식 분석하는 데에 전문이라고 하네요
|
||
cr***** | ||
완전 전문적이고 상세하고 친절한 글 ...
|
||
sg*** | ||
와... 상담 관련 굉장히 전문가인게 글에서 느껴진다!
겨우 천원에 받기에 너무 인생에 도움되는 수업이야ㅠ 잘 읽었어! |
||
ro****** | ||
단발적 사건에 의한 트라우마에는 어떤 심리상담기법을 추천하시나요?
사건 전 정신건강 문제가 없었고 일상생활이 가능하지만 그 트라우마를 다루는 데만 문제가 있는 상태입니다. |
||
마르실 | ||
이런 글이 천원이라니!!
상담에 관심있었는데 너모 유용한 정보들이었어 고마워 |
||
키키** | ||
천원의 너무나 양질의 글이다..
|
||
![]() |
||
큰 도움이 됐어요 감사합니다!
비대면상담(zoom)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해외 거주 등) 그리고 이건 우문이지만 상담사를 찾아갈 때 비슷한 정체성을 공유하는 사람이 더 나은지 아니면 역효과가 있는지도 궁금해요 (예를 들어 성차별이나 인종차별 등으로 괴로워하는 내담자가 스스로 가해자라고 여기는? 정체성의 상담자는 피해야하는지) |
||
aa******** | ||
이거 천원은 너무 싸다 싶을 정도로 훌륭한 심리 상담 가이드임.
|
||
관리자 | ||
상담사 이력에
1급 전문상담사 (사) 한국상담학회 이렇게 되어있고 이쪽 홈페이지 들어가서 이름 검색해도 안뜨는 경우는 뭘까 |
||
![]() |
||
이 글을 강력 추천하는 리유
1. 핵심을 간결하고 알아듣기 쉽게 설명해줌 2. 좋은 상담사를 고르는 방법 뿐만이 아니라 내담자로서 취해야할 적절한 방법까지 알려줌 |
||
꺼삐딴 리언년 | ||
![]() |
사업자번호: 783-81-0003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2023-서울서초-0851
서울 서초구 청계산로 193 메트하임 512호
(주) 이드페이퍼 | 대표자: 이종운 | 070-8648-1433